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Why? People 와이 피플 세종대왕

 원래 Why? 과학시리즈를 엄청 좋아하던 딸래미는 인물시리즈도 역시 좋아하더라구요~

문화예술, 과학에 눈뜬 조선 최초의 학구파 군주! 세종은 1397년 음력 4월 10일, 태종 이방원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어요.. 이름은 도(?)이며 우리가 흔히 부르는 세종(世宗)은 사후에 붙여진 묘호입니다. 어려서부터 서책을 가까이하고 학문을 연마하여 태종의 총애를 받았습니다. 맏형인 양녕대군이 세자에서 폐위되면서 둘째 형인 효령 대군을 제치고 세자로 책봉되었고, 1418년에 아버지 태종이 양위를 주장하여 조선의 제4대 왕으로 즉위했어요. 태종이 승하하자 정무를 주관하면서 황희, 맹사성 등을 중용하여 육조의 정무를 의정부에서 총괄하도록 하는 의정부서사제를 실시해 일종의 내각 중심 정치제도를 확립했습니다.세종의 애민 정신은 업적으로 나타납니다. 조선에 맞는 농사법을 취합하여 농서를 편찬하고 농사에 필수적인 강우량을 재는 측우기와 수표를 개발했습니다. 과학 기술에도 두루 관심을 기울여 정초, 장영실로 하여금 천문 관측기구인 혼천의?해시계인 앙부일구?물시계인 자격루?측우기 등을 발명하도록 했습니다. 해시계는 일반 백성을 위한 공중 시계 역할을 했으며, 특히 측우기는 서양보다 200여 년이나 앞선 세계 최초의 발명품이었습니다. 국방과 영토 확장에도 힘을 기울였다. 김종서?최윤덕 등을 내세워 평안도와 함길도에 출몰하는 여진족을 국경 밖으로 몰아내고 4군 6진을 개척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으로 국경을 확장했고, 백성을 옮겨 살게 해 국토의 균형된 발전을 꾀했지요. 즉위 원년엔 태종의 뜻을 좇아 이종무를 보내 대마도를 정벌했어요. 무엇보다도 세종이 남긴 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빛나는 업적은 훈민정음 창제입니다. 완고한 사대주의가 팽배하던 시대 상황에서 반대를 무릅쓰고 자주적인 문자 체계를 확립한 한글은 세종이 남긴 문화유산 중에서도 가장 빛나는 유산임에 틀림없어요. 이 밖에도 법제와 아악의 정리, 도량형의 확정, 조세 제도의 개선 등 문물을 정비했습니다. 세종은 오늘날, 과학?농업?국방?예술?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찬란한 업적을 쌓은 위대한 성군(聖君)으로 존경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소갈병과 같은 크고 작은 병마에 시달렸고, 말년엔 자식들과 왕후를 잃는 등 인간적인 불운을 겪기도 했습니다. 자, 이제 조선시대 최초의 학구파 군주였던 세종의 삶 속으로 들어가 봅시다!

시대와 인물
호기심 많고 영특한 왕자
갑자기 물려받은 세자 자리
새로운 임금이 꿈꾸는 나라
백성을 배불리는 농업과 과학
백성을 살피는 어진 임금
새로 만드는 국경
백성을 위한 글, 훈민정음
외로운 임금 세종

역지사지 / 라이벌 & 서포터 / 인물 스케치 /
용어 해설 / 교과 연계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