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시읽기노래책시렁 136《어린 당나귀 곁에서》김사인창비2015.1.15. 대학교에서 가르치는 문학은 ‘문학에서만 쓰는 말’입니다. 살림자리·사랑자리·삶자리에서 쓰는 말하고 동떨어집니다. 문학비평·문학평론 가운데 살림말·사랑말·삶말이 한 톨이라도 있을까요? 이 나라 숱한 문학은 얼마나 살림말·사랑말·삶말일까요? 비평·평론에 앞서, 또 대학교육·문학강의에 앞서, 글잡이 노릇을 하겠다는 이들이 읊거나 적바림하는 말씨나 글씨는 모조리 살림·사랑·삶을 등지지 않나요? 이론만 남고, 이념만 있고, 철학만 앞세우고, 전문가 자랑만 하면서 문학이란 허울을 세우지 싶습니다. 《어린 당나귀 곁에서》를 읽다가 입에서 거친 말이 불쑥 튀어나올 뻔했습니다. 우쭐대는 사내질이 그득한 이런 꾸러미를 어떻게 시집이란 꼴로 묶어서 내놓을 수 있을까요? 어쩌면 오늘날 문학이란, 문학교육이란, 문학강의나 문학교수나 문학비평이나 문학창작이란 모조리 이런 얼거리인데, ‘문학이란 이름으로 쓰는 글이 살림이나 사랑이나 삶을 담아서 이웃하고 어깨동무하는 슬기로운 숲’으로 나아가리라고 엉뚱하게 생각한 셈이로구나 싶습니다. 살림·사랑·삶은 가르칠 수 없어요. 우리는 누구나 사랑으로 태어나서 살아갈 뿐입니다. ㅅㄴㄹ소설 공부 다니는 구로동 아무개네 젖먹이를 맡아 봐주던 / 순한 서울 여자 서울 가난뱅이 / 나지막한 언덕 강아지풀 꽃다지의 순한 풀밭 / 응 나도 남자하고 자봤어, 하던 (김태정/19쪽)영주에는 사과도 있지 / 사과에는 사과에는 사과만 있느냐, / 탱탱한 엉덩이도 섞여 있지 / 남들 안 볼 때 몰래 한입 / 깨물고 싶은 엉덩이가 있지 …… 사과 같은 엉덩이가 숨어 있다는 엉큼한 생각을 하면 / 정미소 둘째 닮은 허여멀건 소백산쯤 / 없어도 그만이다 싶기도 하지 / 남들 안 볼 때 한입 앙, / 생각만 해도 세상이 환하지 영주에서는. (엉덩이/34∼35쪽)긴 머리 가시내를 하나 뒤에 싣고 말이지 / 야마하 150 / 부다당 들이밟으며 쌍. / 탑동 바닷가나 한바탕 내달렸으면 싶은 거지 (8월/62쪽)
창비시선 382권. 2006년 무려 19년 만에 너무 슬프고 너무 아름답다는 평을 받은 두번째 시집 가만히 좋아하는을 펴내며 문단에 신선한 감동과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후 다시 9년이라는 긴 시간 뒤에 선보이는 김사인 시인의 세번째 시집이다.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삶과 죽음의 갈피에서 사람 사는 세상을 여여(如如)하게, 또는 엄숙하게 수락하는 겸허한 마음을 가다듬으며 대문자 시의 바깥에서 종용히 움직이는 미시(微詩)의 시학 을 펼쳐 보인다. 고향의 토속어와 일상언어를 자유자재로 부리는 빼어난 언어감각과 정교하고 정감어린 묘사로 생로병사의 슬픔 일체를 간절한 마음의 치열한 단정(端正)에 담아 낸 시편들이 나직하면서도 깊은 울림을 자아낸다.
제1부
달팽이
바짝 붙어서다
목포
은하통신
김태정
중과부적
졸업
풍선
중국집 전씨
북경호일
통영
엉덩이
미루나무 길
금남여객
가난은 사람을 늙게 한다
화양연화
고요한 길
둥근 등
제2부
뵈르스마르트 스체게드
박영근
바보사막
먹는다는 것
삼천포 1
삼천포 2
영동에서
옛 우물
인사동 밤안개
8월
사바
미안한 일
보살
빈집
에이 시브럴
좌탈
소주는 달다
초분
제3부
내곡동 블루스
이게 뭐야?
지전 석장
칼에 대하여
총알값
성 베두인
시간 K
선운사 풍천장어집
후일담
그대의 이름
오월유사
불길한 저녁
한국사
볼펜
그림자가 없다
일기장 악몽
이대로 좀
꿈
제4부
고비사막 어머니
첫차
공부
비둘기호
매미
가을날
극락전
대서소
부여 솜틀 하늘 지점
허공장경
삼우 무렵
서부시장
회인 차부 고진각 씨
적막에 바침
겨울잠
무릎 꿇다
발문 | 최원식
시인의 말
카테고리 없음